아.. 놀고 싶다. 술도 먹고 싶다.ㅋㅋ 육아도 하고 머리속은 계속해서 일이 있고.. 약속했던 공부는 생각보다 잘 안된다. 하이튼 오늘도 주옥 같은 강의를 들었다. transactional 옵션에 대해서 고민하자. 각 db 마다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readonly=true에 따라서 서버가 달라 질 수가 있다. JPA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을 들으면서 인상인게 강의에 테스트 코드 강의가 있다. 대박... 난 개발을 하면서 아직 테스트 코드를 제대로 작성한 것은 몇번 없는데.. 하이튼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할떄는 오직 비지니스 로직 중심응로 짜라는 충고를 받았다. 근데.. 어떻게.. 웹 개발인데 DB 중심으로 짜야 할지 신기하다. 그리고 신기한 단어를 들었다. 도메인 개발패턴, 트렌져션 ..
목표를 세웠더니 생각보다 쉽지 않다. 하루 2시간의 강의를 듣기 위해서는 대충 4시간의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 최대한 아이가 잘때 해야 할 것 같다. 육아와 공부는 쉽지 않다. 시간을 조금 더 쪼개서 아껴써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강의를 듣는데 좋은 점은 이전 강의에서 들었던 강의를 복습하는 느낌이 있다. 하이튼 1:N 연관관계 주인은 외래키가 가진곳이 주인이 된다. 예를 들어서 차와 바퀴가 있다면 바퀴가 외래키 주인이 된다. 엔티니 클래스 개발 강의에서 6분11초에서는 계층형 구조를 잡는 예시가 있다. ~~one 관계를 맺으면 n+1 이슈 때문에 무조건 fetch 전략은 EAGER가 아니라 LAZY로 찾아야 한다. 정말로 김영한 강사님은 갓영한 강사님 같..
오늘은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조건식(CASE) ~ 벌크 연산까지로 해서 기본편은 종료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프로젝트 생성까지 들었다. 이번 휴가때 최소 한번 JPA 강의와 코틀린 강의를 들을 생각이 있기 때문에 강의시간만 최소 32시간이 필요한데.. 그럴려면 16시간이 필요하다. 강의는 하루에 무조건 이해를 하든 말든 1.7배속으로 2시간씩 들어야 한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냐면 우선 한번 듣고 다시 공부하는 것과 아닌것과 차이가 있고 공부는 반복이기 떄문에 속도가 중요하다. 강의 요약은 묵시적 조인은 추후 튜닝을 하기 위해서 하지말어야 한다. 패치조인은 n+1문제의 거의 해결한다. 그러나 엔티티 관계가 1:N일 경우에는 중복 데이터가 ..
작심삼일이 안되면 작심365일이 하더라도 공부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하이튼 오늘은 페이징(setFirstResult, setMaxResult), on을 통해서 엔티티가 관계가 없어도 된다는 점 서브쿼리 같은 경우에는 select 절은 안되고, from 절도 서브쿼리가 안된는 것을 배웠다. from 절의 서브쿼리는 될 수 있으면 join으로 풀고 안되면 2개 쿼리로 그것도 안되면 서버단, 아니면 네이티브쿼리로 풀라고 이야기를 들었다.
개발한지 12년.. 도대체 일만 하니깐 남는게 없다. 어떻게든 하루 하루 살아야 겠지만 내 경험상 학습 하지 않는 이상 경력으로 살 수가 없다. 우선 시작을 JPA부터 시작하려고 한다. 무조건 하루에 한 시간을 JPA관련 공부를 하고 학습 작성 하려고 한다. 우선 기본 문법과 쿼리에서는 결국에는 JQL, QueryDsl를 강사님이 추천했고 Join를 할떄는 문법대로 사용 할 것 정도 기억이 난다. (너무 오랜만에 강의를 듣으니깐 집중이 안된다.) 하이튼 시작이 중요하다.!!! JPA을 처음 만나는 사람이라면 어떻게 공부할까?라는 많은 생각하게 되는데 우선 나는 김영한 동영상 강의를 추천한다. 인프런에서 정리가 된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볼 수가 있는데 생각보다 돈이 많이들지만 공부하는데 돈을 아끼면..
개발을 하면서 우연히 아래와 같은 오류메시지를 만나게 되었다. [오류 메시지] ERROR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Tomcat].[localhost].[/].[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web.firewall.RequestRejectedException: The request was rejected because the URL contained a potentially malicious String ";" at org.springframe..
웹화면에서는 VM136:1 Uncaught SyntaxError: Unexpected end of JSON input이라고 뜨고... 서버에서는 ERROR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Tomcat].[localhost].[/].[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Request processing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http.converter.HttpMessageNotWritableException: Could not write JSO..
갑자기 개발 도중에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오류 메시지가 길어지니.. 분석하기도 힘들고 몸도 지치고 마음도 지치는데 이게 무슨 오류일까?라고 한참을 고민을 했었는데 결론은 QueryDsl를 사용하기 위해서 DTO를 만들어서 매핑을 시켰는데 Entity와 Dto와 데이터 타입이 맞지 않아서 생기는 오류 였다. 별거 아닌데 모르면 몇시간을 낭비하는 오류인 것 같다.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Tomcat].[localhost].[/].[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Request proce..
SpringBoot를 Windows Server에서 *.jar 배포를 하는데 이게 무슨 Exception만 나면 서버가 멈추었다. 음..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사이트에서는 Springboot jar 파일 배포시 아래의 명령어로 설명을 해주는데 java -jar *-0.0.1-SNAPSHOT.jar --spring.profiles.active=deploy 실제 서버로 배포 할때는 아래와 같이 배포 해야지 오류가 나도 멈추지 않는다. java -server -jar *-0.0.1-SNAPSHOT.jar --spring.profiles.active=deploy 물론 서비스로 등록하는 것은 다른 방법이 있는데 우선은 임베디드 톰캣을 서버에서 실행시켜야 해야해서 위의 명령어로 CMD 창에서 만족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제주도여행
- 인천여행
- PPTX
- 덤프
- 임자도
- 테라로사
- 대관령양떼목장
- 맛집
- oracle
- 부천역
- 파주여행
- jdk
- 밀리세컨드
- 이클립스
- java api
- ora-01940
- 인천
- 정동지
- 가평여행
- 보성녹차밭
- 토드
- 산외한우마을
- 가평팬션
- 오라클
- pdf ms워드 변환
- 담양 죽녹원
- 인스타그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